반응형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4003
14003번: 가장 긴 증가하는 부분 수열 5
첫째 줄에 수열 A의 크기 N (1 ≤ N ≤ 1,000,000)이 주어진다. 둘째 줄에는 수열 A를 이루고 있는 Ai가 주어진다. (-1,000,000,000 ≤ Ai ≤ 1,000,000,000)
www.acmicpc.net
[ 문제풀이 ]
lower_bound를 잘 활용하고 각 수의 index를 잘 저장해주면 쉽게 풀 수 있는 문제입니다.
먼저 각 수의 index를 저장할 index배열을 만듭니다. 그리고 각 수가 LIS의 몇 번째 인덱스에 있는지 계속 체크해주면서 index 배열에 저장해줍니다.
10 20 10 30 20 50
위의 수열을 예로 들면
그리고 나서 index배열의 끝에서부터 값이 큰 수부터 차례로 ans 배열에 저장한 후 ans 배열을 출력해주면 됩니다.
[ 소스 코드 ]
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| #include<iostream> #include<algorithm> #include<vector> using namespace std; int N; vector<int> lis; vector<int> ans; int arr[1000001]; //전체 배열 int index[1000001]; //lis 좌표를 저장하기 위한 배열 int main() { cin >> N; for (int i = 0; i < N; i++) { scanf("%d", &arr[i]); if (i == 0) { lis.push_back(arr[i]); index[i] = lis.size(); //lis의 몇번 째에 있는지 저장 } else { if (*lis.rbegin() < arr[i]) { lis.push_back( arr[i] ); index[i] = lis.size(); //lis의 몇번 째에 있는지 저장 } else { auto idx = lower_bound(lis.begin(), lis.end(), arr[i]) - lis.begin(); lis[idx] = arr[i]; index[i] = idx + 1; //lis의 몇번 째에 있는지 저장 } } } int cnt = lis.size(); for (int i = N - 1; i >= 0; i--) { //반대부터 index를 1씩 줄여가며 순서대로 저장 if (index[i] == cnt) { ans.push_back(arr[i]); cnt--; } if (cnt == 0) break; } cout << lis.size() << endl; for (int i = ans.size() - 1; i >= 0; i--) { cout << ans[i] << " "; } } | cs |
반응형
'백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 백준 ] 12850번 - 본대 산책2 (C++) (0) | 2022.06.23 |
---|---|
[ 백준 ] 2098번 - 외판원 순회 (C++) (0) | 2022.06.22 |
[ 백준 ] 9328번 - 열쇠 (C++) (0) | 2022.06.20 |
[ 백준 ] 1167번 - 트리의 지름 (C++) (0) | 2022.06.19 |
[ 백준 ] 17404번 - RGB거리 2 (C++) (0) | 2022.06.18 |